computer architecture
컴퓨터 구조
컴퓨터의 구조를 익히는 중, 챕터 별로 중요한 개념을 복습하기 위해 정리한 문서.
컴퓨터 구조 개론
컴퓨터의 발전 역사
시대별 컴퓨터의 발전 역사를 HW와 SW 중심으로 살펴보는 챕터.
- 신체를 이용한 계산 (초창기)
- 전자식 컴퓨터 시작 (1940)
- 개인용 컴퓨터 시대 (1980)
- 인터넷 시대 (1990)
- 인공지능 시대 (2000)
신체와 작은 도구를 이용한 계산
지금 우리의 컴퓨너틑 전기를 사용하는 전자식 컴퓨터. 전자 흐름과 차단으로 0과 1을 표현하는 것이다.
초창기엔 손가락, 돌멩이와 막대기 등을 이용해 셈을 했을 것이다. 이후 막대기에 돌멩이를 끼운 주판이 나타났고,
- 한국식 주판은 10진법 (5진법과 10진법 동시 사용)
- 중국식은 16진법이다.
여기까진 사람이 계산하는 수동식 계산기였다.
기계식 계산기
파스칼(사람)이 톱니 바퀴를 이용한 계산기 제작. 라이프니츠(사람)가 2진법을 이용한 4칙연산기도 개발하였다. 배버지(사람)는 다항 함수 계산 가능한 기계식 계산기 [차분 기관 / 해석 기관] 을 설계했다.
- 톱니바퀴 제조가 어려워 기계 완성은 못했다.
이후 천공 카드가 개발되어, 이를 기반으로 공학용 도표 작성기 개발하였다.
전자식 컴퓨터
세계 최초 전자식 컴퓨터는 에니악이 아닌 ABC다.
에니악은 2차 세계대전 중 탄도 계산을 위해 개발되었고, 프로그램을 배선판에 일일이 배선하는 외부 프로그래밍 방식이다. 10진수 사용하며, 기존 기계식 계산기보다 1,000배 빨랐다.
참고로 에니악은 다용도 전자식 컴퓨터다.